주인공으로, 하모니카 작곡가 <김형준> 인터뷰 [인터뷰] 뮤지션의 조연에서 오케스트라 협주곡의
<하모니카 메모리얼> 하모니카 작곡가 '김형준' 인터뷰 글 이규승 필진김광석 버스커 바스카에서 밥 딜런(Bob Dylan), 빌리 조엘(Billy Joel)까지. 국내외 유명 뮤지션들이 공연장에서 애용하던 조연이 오케스트라 협주곡의 주인공으로 화려하게 등장했다. 바이올린이나 피아노에 비해 가격 부담도 적다. 관악기보다 (입으로 불면 떨리는 판으로 소리를 낸다) '리드(Reed) 악기'로 소개된다.
200년 전 유럽에서 시작됐지만 미국의 남북전쟁에는 재즈와 블루스를 알렸다. 종류만 해도 150개가 넘는다. 비브라토는 손으로, 호흡으로, 혀와 입술까지 짧은 역사에도 연주의 비결이 다양하다. 휴대성은 어떤가. 억지로 불지 말고 숨쉴 정도의 소리만 내도 된다. 남녀노소의 사랑을 받는 악기에 대한 이야기다."하모니카 연주자를 만나면서 시작했어요"
▲9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제13회 아르코 한국창작음악제>에 참석하는 작곡가 김현중은 "앞으로 하모니카 작품의 대표적인 참고곡이 되고 싶다"며 <하모니카 메모리얼>을 완성시켰다. 필립 리 클래식 분야에서 전도유망한 음악가로 성장하고 있는 김현중(33) 작곡가는 하모니카 연주곡을 완성하게 된 계기를 이렇게 기억했다. 하모니 계열의 곡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악보를 제작해 줄 편곡자를 찾는다」라고 SNS에 투고한 연주자에게 연락이 닿았다. 첫 만남에서 연주자는 독창적인 레퍼토리가 없었기 때문에 작품이 나올 때마다 고민을 많이 했죠. 하지만 자신도 언젠가는 하모니카 곡을 쓰고 싶었다고 고백했다.김 작곡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에 선정되어 1년 넘게 작업을 해왔다. 본래 25분 정도의 곡이지만, 제13회 아르코 한국창작음악제(이하 "아창제"라 함) 공모 때에는 작품시간에 제한이 있어 15분 이내에 개작해야 했다. 원래는 소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한 일관편성이지만 이번에는 원래 규모를 위한 이관편성으로 작업했다. 여기에 유연함을 더하기 위해 4월에는 피아노와 하모니카 2중주를 만들었다. 이런 끊임없는 변주는 어떤 상황에서도 연주를 계속하고 싶었기 때문이다."계속적으로 연주될 작품을 위해 '재연작' 공모에 신청했어요.2월 초연을 한 이후 이번이 여섯 번째입니다.
2007년부터 시작된 <아르코 한국창작음악제>(이하 '아창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이한다. 이는 서양 고전음악이 일색이었던 한국 음악시장에 작곡가, 지휘자, 연주자가 창작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작곡가의 혁신적인 창작력과 개척정신이 반영된 작품을 발굴하면서 '한국 창작 관현악의 산실' 역할을 해왔다. 특히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을 역임한 이건용을 추진위원장으로 위촉하여 서양음악에서 국악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대표적인 창작음악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매년 68월에 공모가 진행되며 10월에는 블라인드 심사를 거쳐 국악관현악과 양악관현악 작품을 선정해 무대에 오른다.오는 9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아창재>(연주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는 양악부문이다. 여기에는 김현중의 하모니카 협주곡 <하모니카 메모리얼>을 비롯해 김신 "Selbst gespra che 7" for or chestra, 박준상 교향곡 3번(2021), 엄기환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사방신", 윤은혜 abyss의 다섯 곡이 이어진다.특히 선정 결과를 알리는 심의총평에서 하모니카 협주곡은 참신함과 함께 작곡가(김현준)와 연주자(박종성) 간의 치밀한 소통이 돋보인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1년 전부터 박 연주자와 함께 다섯 번의 무대를 완성한 이 곡은 19세기부터 현재까지 하모니카가 걸어온 역사적 배경을 4악장으로 구성한 것이다.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공연을 앞두고 3일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작곡가 김현중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Q: 화음이 조화를 이룬다는 화음과 관련돼 있다고. 실제로 다른 악기와 잘 맞는지.오케스트라, 현악기와 잘 맞는다. (하모니카는) 몸과 울림이 작은 편이라 마이크를 통해 균형을 맞춰야 협주가 가능하다. 처음엔 이런 한계 때문에 클래식에선 쉽지 않았다. 큰 무대에서는 쓰이지 않았지만 유명 뮤지션이 하모니카를 가져오면서 대중화됐다. 그런 하모니카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고 싶었다.Q. 한 지휘자가 피아노는 누르면 소리가 나는데 하모니카는 숨을 쉬다가 소리를 내기 때문에 힘들다는 편견을 고백했다. 작곡가로서 하모니카의 매력은 무엇인가?(나도) 악기를 처음 접하면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느꼈다. 작지만 들숨과 날숨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음역이 넓다. 또 호흡을 쉬어야 하는 관악기와는 달리 유연하게 숨을 쉴 수도 있다. 오히려 (현악기처럼) 연주도 가능하다. 그리고 재즈, 탱고, 국악 등 다양한 장르와 조화를 이룬다. 1악장은 오리엔탈(국악)을, 2악장은 반음계적인 클래식을, 3악장은 미국의 재즈와 블루스를, 4악장은 TV에 나오는 대중음악을 가리킨다. 시간이 길어도 다양한 장르가 나와 지루하지 않게 들을 수 있다.Q. 곡이 완성되기까지 1년이 지났다. 생각나는 에피소드 있나?어느 정도 분량을 적어 연주자와 만나기로 했는데 참고할 자료가 없어 너무 힘들었다. 어느 날 곡을 쓰지 않으면 5만원씩 내겠다고 약속했다. 그래서 5만원씩 줬던 기억이 있다.(하하) 그만큼 창작의 고통이 컸고 채찍질하면서 나왔다. 초연에는 연주자도 이런 곡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대부분 깔끔한 선율의 노래를 불렀지만 이런 불협화음의 경험도 없어 서로 힘들었다. 이렇게 고생했던 경험이 기억에 남았다. 그런데 다 쓴 뒤 연주자에게 줄 때는 눈물이 났다. 다행히 1년간 연주를 하면서 기회를 잘 잡은 것 같다.Q. 대중가수가 연주한 곡은 들어봤지만 하모니카를 위한 곡은 보지 못했다.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은 처음 시도하나? 하모니카의 역사, 발전 과정을 통해 대중에게 소개하겠다는 의도에서 비롯됐다. 처음에는 동양에서 유럽으로, 다시 미국과 현대로 옮겨가는 뉘앙스를 악장별로 표현했다. 언젠가는 교향악 축제에 바치고 싶다. 연주를 많이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감사하고 지속적으로 연주되기를 꿈꾼다 Q. 앞으로 하모니카 작품의 대표적인 참고곡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동안 공연을 해온 소감은?하모니카를 처음 등록한 게 1822년이니 지난해가 200주년이다. 6회까지 이어질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다만 연주자의 레퍼토리에 대한 고민을 덜어줄 수 있어 다행이다. 작곡가로서 완벽한 작품을 위해 끊임없이 수정했다. 처음에는 이 곡이 나온 것에 감사했지만 계속 보는 동안 아쉬운 부분도 보였다. 앞으로도 계속 수정하게 될 것 같다. 재연에는 주위로부터 피드백을 들어 반영할 수 있는 것이 좋다.Q. 창작 과정은 어떤 의미를 갖나.창작은 작곡가가 가진 모든 것을 꺼내는 것이다. 그냥 꺼내는 게 아니라 청중과 공감할 수 있는 목표와 의도를 갖고 꺼내는 게 진정한 창작이라고 생각한다.▲제13회 아르코 한국 창작 음악제 악제 포스터 头 아크로 한국 창작 음악제 추진위원회 Q. 김 작곡가에게 「아찬제」란 무엇인가?학부 시절에 습작은 많이 했지만 작품은 많이 발표하지 않았다. 예전에는 현악오케스트라와 합창을 위한 것도 했지만 주로 활동한 분야는 오케스트라 편곡 분야다. 메이플스토리, 스타크래프트 등 게임음악뿐 아니라 영화음악 등 다양한 경험이 도움이 됐다. 그러나 제대로 된 곡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 음악적 경험을 쏟아냈다. 4악장은 테크노풍, EDM까지 들어간다. 이 곡은 하나만 요리를 준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리를 준비한 뷔페와 같은 것이다. 개인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이 가장 독창적이라는 박찬욱 감독의 말처럼 내 모든 경험이 곡을 쓰는 데 큰 도움이 된 것 같다."Q. 이 무대를 통해 관객에게 전하고 싶은 것은?" 하모니카만의 다양한 시도를 통해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싶다. 당일 많은 작곡가도 오겠지만 하모니카에 관심을 갖고 창작곡을 많이 써주기 바란다. 바이올린 피아노 등 굵직한 주류 악기는 넘치지만 하모니카 등 수요가 있는 작품에 관심을 가져 달라. 음악은 듣고 즐기기 위해 존재한다. 그동안 실험적인 것을 통해 본질에서 멀어진 것은 아닌지 반성한다. 그리고 지속 가능한 작품을 쓰고 싶다.